검색의 진화, 구글 AI 개요가 변화시키는 SEO 전략

구글에서 정보를 검색하다 보면 검색 결과 최상단에 AI 개요(AI Overviews, AIO)가 표시되는 것을 종종 확인할 수 있습니다. AI 개요는 사용자가 추가로 웹사이트를 방문하지 않아도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한데요. 웹사이트 트래픽과 SEO 전략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AI 개요가 어떤 검색어에서 주로 나타나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콘텐츠를 제작해야 AI 개요에서 인용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I 개요는 얼마나 자주 노출될까요?
2024년 5월 14일, 구글은 AI 개요(AIO)를 정식으로 출시했습니다.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시간이 지날수록 AI 개요에 표시되는 키워드의 수는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초기 연구에서는 AI 개요 노출 비율이 12.5%에서 42%로 보고되었으나, 최신 연구에서는 4.5%~6.7%로 확인됩니다. 즉, 여전히 많은 검색어에서 AI 개요가 아닌 일반적인 검색 결과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또한 검색 기기에 따라 AI 개요 노출 비율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데스크톱에서 AI 개요가 많이 표시되는 분야는 건강, 사람&사회, 과학이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사람&사회, 과학과 더불어 음식 및 음료 주제에 관해서도 AI 개요가 자주 노출됩니다.
건강과 같은 YMYL(Your Money Your Life) 분야에서 AI 개요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구글이 해당 분야에서 AI 개요를 생성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연구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측됩니다.

AI 개요는 어떤 키워드에서 발생할까요?

일반적으로 AI 개요는 정보 탐색형(Informational) 키워드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추천 스니펫과 함께 표시되기도 하며, 구글 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와 함께 등장하는 경향도 있는데요. 이는 구글이 AI 개요를 생성할 때 지식 그래프 데이터를 기반으로 활용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상업적(Commercial)이나 거래형(Transactional) 키워드에서는 AI 개요가 거의 등장하지 않습니다. 이 두 가지 키워드에서는 광고가 먼저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구글이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해당 키워드에서 AI 개요의 노출을 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AI 개요는 검색량이 적고 긴 롱테일 키워드에서 더 자주 나타난다고 합니다. 기존의 구글 검색은 긴 검색어를 완벽히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AI 개요는 그보다 훨씬 정확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AI 개요가 SEO 트래픽에 미치는 영향
AI 개요는 모든 검색 결과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검색량이 낮고 정보성이 강한 긴 검색어(롱테일 키워드)에서 주로 표시됩니다. AI 개요가 검색 결과에 등장할 경우 SEO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AI 개요가 표시되면 기존의 일반 검색 결과가 화면 아래로 밀려나게 됩니다. 최상단에 있던 콘텐츠도 AI 개요 아래에서 확인할 수밖에 없죠. AI 개요가 차지하는 화면 비율이 크다는 점만으로도 일반 검색 결과의 클릭률(CTR)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다만, 사용자가 AI 개요 아래에 있는 검색 결과를 얼마나 클릭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AI 개요에서 인용되는 것이 오가닉 트래픽(Organic Traffic)에 중요한 요소라는 점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AI 개요에서 인용할 수 있는 콘텐츠는 5~8개에 불과하기 때문에 쉬운 일은 아닙니다.
결국 AI 개요는 CTR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AI 개요에 콘텐츠가 인용되는 것이 SEO의 새로운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다만, 지금 당장 매출이나 트래픽에 큰 타격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AI 개요로 표시되는 검색어 자체가 기존에도 검색량이 낮거나 CTR이 낮은 키워드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콘텐츠가 인용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I 개요에서 랭킹은 곧 인용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글이 어떤 페이지를 인용할지 결정하는 방식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현재로서는 Gemini가 먼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한 후 그 답변에 적합한 출처를 찾는 방식으로 추측됩니다.
코사인 유사도 분석(Cosine Similarity)
정확한 키워드 일치보다는 텍스트 유사성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의 콘텐츠와 AI 개요의 답변을 분석하는 것인데요. 타깃 키워드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페이지를 선택하고, 그 페이지가 AI 개요의 어떤 부분에 가장 적절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전략입니다.
기본적인 SEO
현재 AI 개요는 초기보다 검색 결과 상위 10개 페이지에서 더 많이 인용하고 있습니다. 테크니컬 SEO와 온페이지 SEO는 여전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물론 SEO 최적화는 AI 개요의 핵심 기준이라기보다는 인용될 가능성을 높이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AI 개요 맞춤형 콘텐츠 제작하는 법
AI 개요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은 기존 검색 엔진 최적화와 완전히 다르지는 않지만, 몇 가지 새로운 전략이 필요합니다. 올바른 콘텐츠 형식을 선택하고, 어떤 플랫폼에 게재할지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AI 개요는 길지 않은 분량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내용을 줄이고 핵심 정보를 간결하게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포함하는 것도 인용될 확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추천 스니펫(Featured Snippet)을 최적화하는 방식과 유사하므로, 인용될 때까지 콘텐츠를 조금씩 수정하고 실험해보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AI 개요는 웹사이트뿐만 아니라 유튜브와 링크드인의 콘텐츠도 자주 인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SEO 전략을 웹사이트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소셜 미디어까지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AI 개요(AIO)는 검색 결과의 형태를 변화시켜 기존 SEO 전략만으로는 트래픽 감소를 막기 어려워졌습니다. 이제는 AI 개요에서 인용되는 것 자체가 새로운 SEO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AI 개요는 계속 변화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테스트와 모니터링을 통해 최적화 전략을 업데이트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